1.4.1 빌드하기
먼저, IntelliJ에서 서버가 실행되고 있다면
localhost:8080 포트를 2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오류가 뜨게 된다.
따라서 IntelliJ 서버를 끄고 시작한다.
cmd 창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빌드할 수 있다.
cd C:\Users\유지민\OneDrive\바탕 화면\Spring_study
먼저, 실행할 파일의 폴더로 이동한다.
Spring_study 폴더로 이동하고자 한다.
cd hello-spring
다음으로, 실행할 파일의 위치로 이동한다.
hello-spring 파일을 실행하고자 한다.
gradlew.bat build
빌드를 실행하는 명령어이다.
해당 명렁어를 입력하면, 빌드에 필요한 파일들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다.
build successful 이 뜬다면, 빌드에 성공한 것이다.
1.4.2 실행하기
다음으로, 빌드 폴더에 들어가서 서버를 실행시켜보자.
cd build
먼저, 생성된 build 폴더로 들어간다.
cd libs
build 폴더의, libs 폴더로 들어간다.
해당 폴더에 hello-spring-0.0.1-SNAPSHOT.jar 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.
java -jar hello-spring-0.0.1-SNAPSHOT.jar
위에서 생성된 파일을 실행시킨다.
localhost:8080 에 들어가면, 제대로 빌드와 실행이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.
+ 추가)
빌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,
buildw.bat clean build
명령어를 입력하고 다시 빌드한다.
이 명령어는 build 폴더를 완전히 삭제한다.
김영한 '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'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'SPRING 입문 [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 입문] 섹션 2.2 스프링 웹 개발 기초 (MVC와 템플릿 엔진) (0) | 2023.01.07 |
---|---|
[스프링 입문] 섹션 2.1 스프링 웹 개발 기초 (정적 컨텐츠) (0) | 2023.01.07 |
[스프링 입문] 섹션 1.3 프로젝트 환경설정 (View 환경설정) (0) | 2023.01.07 |
[스프링 입문] 섹션 1.2 프로젝트 환경설정 (라이브러리 살펴보기) (0) | 2022.12.29 |
[스프링 입문] 섹션 1.1 프로젝트 환경설정 (프로젝트 생성) (0) | 2022.12.28 |